PBR과 PER은 주식 투자에서 기업 가치를 평가할 때 필수적인 지표입니다. 각각의 의미와 계산법, 투자에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세요.
PBR과 PER, 주식 투자 필수 용어 완벽 정리
주식 투자에서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두 가지 지표가 PBR과 PER입니다.
이 두 지표를 이해하면, 기업의 수익성과 자산가치를 쉽게 분석할 수 있습니다.
1. PER (주가수익비율)란?
PER은 기업의 수익성을 평가하는 지표로, 주가가 기업의 순이익 대비 몇 배인지 나타냅니다.
- ✔ 공식: PER = 주가 ÷ 주당순이익(EPS)
- ✔ 의미: 주가가 순이익의 몇 배인지 확인할 수 있는 지표
- ✔ 해석: PER이 낮을수록 저평가, 높을수록 고평가 가능성
- ✔ 예시: 주가 10,000원, EPS 1,000원 → PER = 10배
2. PBR (주가순자산비율)란?
PBR은 기업의 자산가치를 평가하는 지표로, 주가가 순자산 대비 몇 배인지 나타냅니다.
- ✔ 공식: PBR = 주가 ÷ 주당순자산(BPS)
- ✔ 의미: 기업의 순자산 대비 주가가 얼마나 고평가 또는 저평가되었는지 확인
- ✔ 해석: PBR이 1 이하 → 저평가 가능성
- ✔ 예시: 주가 20,000원, BPS 25,000원 → PBR = 0.8배
3. PBR·PER의 차이점과 활용법
구분 | PER (주가수익비율) | PBR (주가순자산비율) |
---|---|---|
평가 기준 | 기업의 수익성 (순이익 기준) | 기업의 자산가치 (순자산 기준) |
저평가 기준 | PER이 낮을수록 저평가 | PBR이 1 이하일 때 저평가 |
활용법 | 성장주 분석 | 가치주 분석 |
적합한 기업 | 이익이 꾸준한 기업 | 자산가치가 높은 기업 |
4. PBR·PER을 활용한 투자 전략
- ✅ PER → 기업의 수익성 분석에 적합
- ✅ PBR → 자산가치 분석에 적합
- ✅ PBR + PER 조합 → 저평가된 우량주 발굴에 효과적
- ✅ PER이 낮고, PBR이 1 이하인 기업 → 저평가된 가치주 가능성 ↑
5. PBR·PER로 우량주 찾기
PBR과 PER을 조합하여 우량주를 찾는 것은 투자자들에게 매우 유용한 전략입니다.
- 📊 PER이 낮고, PBR이 1 이하인 기업 → 저평가된 우량주 가능성 ↑
- 📊 PER이 높지만 PBR이 낮은 경우 → 미래 성장 기대 기업
- 📊 PBR이 1 이상이고 PER도 높은 경우 → 고평가 우려 기업
동종 업종 내에서 PER과 PBR을 비교해보면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기업을 찾을 수 있습니다.
6. 결론: PBR과 PER, 어떻게 활용할까?
- ✅ PER: 기업의 수익성 확인 → 저평가 여부 판단
- ✅ PBR: 기업의 자산가치 확인 → 가치주 발굴
- ✅ PER + PBR 조합: 가치주·성장주 분석 가능
- ✅ 투자 전 PBR·PER을 꼭 확인해 투자 전략을 세우세요!
Tags:
certificate